팽이버섯 생식 리스테리아 식중독
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가 한국산 팽이버섯을 먹고 4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밝혔습니다. 17개 주에서 36명이 식중독을 일으켰고, 그 중 4명이 숨졌습니다. 임신부 6명이 감염 증세를 일으켜 2명이 유산했습니다.
이들은 리스테리아 식중독이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데 리스테리아 식중독은 어떤 것인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미 FDA는 이번 리스테리아 식중독으로 사만자가 나오자 수입업체에 한국산 팽이버섯을 전량 회수하라는 리콜 명령을 내렸습니다. 이에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두 나라의 식문화 차이로 식중독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
서로 다른 식문화 차이
우리나라는 팽이버섯을 세척, 가열 조리해 섭취하지만 미국은 샐러드 형태로 바로 먹는 등 식문화가 달라 '리스테리아 식중독'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.
더불어 그간 정부는 국내 생산, 유통단계에서 채소류에 대해 식중독균 실태를 조사해 세척, 공정관리 등 생산단계에서 위생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.
리스테리아 식중독
박테리아의 일종인 리스테리아균은 노인이나 임산부 등에게 치명적으로 작용합니다. 발열이나 근육통, 설사 등의 원인이 되며, 임산부의 유산·사산까지 유발합니다.
하지만 리스테리아균은 70도 이상에서 3~10분 가열하면 사멸되므로 팽이버섯을 충분히 익혀서 먹는 게 식중독 예방에 효과적입니다.
리스테리아 식중독 예방 요령
- 식육‧생선은 72℃, 가금육 83℃까지 가열 조리 후 섭취
- 오염 방지를 위해 조리하지 않는 채소는 섭취 전 깨끗이 세척하고, 조리식품과 비조리식품은 분리, 보관, 취급
- 특히 리스테리아는 냉장온도(0~10℃)에서 성장이 가능하므로 냉장고 음식 보관시 보관음식의 침출액이 넘치지 않게 전용 밀폐용기에 넣어 보관
팽이버섯에는 적혈구를 용해하는 용혈작용을 일으키는 플람톡신이라는 물질이 있으므로 생으로 섭취하지 말고 익혀먹는다면 영양도 많고 다이어트에도 좋은 식품입니다.